정적 경로 특징( 인터페이스 지정 정적 경로 설정 / 신뢰도 / 메트릭 / 정적 기본 경로 )에 대해서 정리한다.
※ 정적 경로 특징
1. 정적 경로 ( Static Route )
- 관리자가 목적지 네트워크 정보, 넥스트-홉 정보를 파악하여 설정하는 방식
장점 : 신뢰적이다.
단점 : 수동 설정이기 때문에 설정 내용이 많다.
R1(config)# ip route 13.13.30.0 255.255.255.0 13.13.12.2
ip route : IP 경로를 정적으로 설정한다.
13.13.30.0 : 목적지 네트워크 이름
255.255.255.0 : 목적지 네트워크 이름에 대한 서브넷 마스크
13.13.12.2 : 넥스트-홉/게이트웨이
R1# show run
R1#show ip route
Gateway of last resort is not set
13.0.0.0/24 is subnetted, 5 subnets
C 13.13.10.0 is directly connected, FastEthernet0/0
C 13.13.12.0 is directly connected, Serial1/0
S 13.13.20.0 [1/0] via 13.13.12.2
S 13.13.23.0 [1/0] via 13.13.12.2
S 13.13.30.0 [1/0] via 13.13.12.2
172.16.0.0/24 is subnetted, 2 subnets
C 172.16.1.0 is directly connected, Loopback172
S 172.16.3.0 [1/0] via 13.13.12.2
S : Static 경로
13.13.30.0 : 목적지 네트워크
[1/ : 정적 경로의 신뢰도(0~255) ( 숫자가 낮을수록 신뢰도가 높다 )
/0] : 메트릭 ( 정적 경로는 메트릭이 없다 )
via : 경유하는 넥스트-홉 라우터 표시
13.13.12.2 : 넥스트-홉 IP 주소
2. 인터페이스를 지정하는 정적 경로 설정
R1(config)# ip route 13.13.30.0 255.255.255.0 s1/0
ip route : IP 경로를 정적으로 설정한다.
13.13.30.0 : 목적지 네트워크 이름
255.255.255.0 : 목적지 네트워크 이름에 대한 서브넷 마스크
s1/0 : 패켓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
- 설정시 주의 사항
넥스트-홉 IP 주소 확인~!!!
가는 경로뿐만 아니라, 되돌아오는 경로도 설정해야 한다~!!!
3. 신뢰도 ( Administrative Distance )
- 라우터가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할 경로의 신뢰도를 의미한다.
- 범위 : 0~255 ( 숫자가 작을 수록 신뢰도는 높다 )
Connected 0
Static 1
EIGRP 90
OSPF 110
RIP 120
Ex) '13.13.30.0/24' 네트워크에 대해서 Static 경로와 RIP 경로 중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되는 경로는?
- Static 경로
4. 메트릭
- 경로 선출에 사용하는 값
- 값이 작을 수록 최적 경로로 선출된다.
Ex) 다음 중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되는 경로는 무엇인가? ①
① R 13.13.30.0 [120/2] via 13.13.12.2, Serial1/0
② R 13.13.30.0 [120/5] via 13.13.14.4, Serial1/1
5. 정적 기본 경로 ( Static Default Route )
- 기본 경로 : 패켓을 전송할 있는 경로가 없을 경우, 가장 마지막에 사용하는 경로
( PC에 기본게이트웨이 지정과 동일함 )
R1(config)#ip route 0.0.0.0 0.0.0.0 13.13.12.2
R1#show ip route
Gateway of last resort is 13.13.12.2 to network 0.0.0.0
13.0.0.0/24 is subnetted, 2 subnets
C 13.13.10.0 is directly connected, FastEthernet0/0
C 13.13.12.0 is directly connected, Serial1/0
172.16.0.0/24 is subnetted, 1 subnets
C 172.16.1.0 is directly connected, Loopback172
S* 0.0.0.0/0 [1/0] via 13.13.12.2
( 윈도우 cmd 창에서 route print 명령어를 실행해서 보면 가입자측에서 기본 경로를 사용하고 있는걸 볼 수 있다 )
[참고] 기본 경로를 사용하는 예제
사용자/지역 가입자 ISP ISP Backbone
Access 라우터-------------Distribution 라우터--------------코어 라우터-------인터넷(다른 지역/국가)
0.0.0.0/0 -> 0.0.0.0/0 ->
'프로그래밍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TWORK 12일차] VLAN ( Database, 생성, access 설정, 트렁크 구성 ) (0) | 2017.05.25 |
---|---|
[NETWORK 11일차] 스위치 장비 특징( 스위치 기본 동작 / 트랜스패런트 브리징 / 명령어 / 관리자 ip 주소 설정 ) / 동적 라우터 (0) | 2017.05.24 |
[NETWORK 9일차] Cisco IOS 명령어( 라우터 인터페이스 설정 ) / 라우터 테이블 동적 설정 (0) | 2017.05.19 |
[NETWORK 8일차] Cisco IOS 명령어( 명령 프롬프트, 라우터 호스트네임 설정, RAM&NVRAM, 라우터 패스워드 설정 ) (0) | 2017.05.19 |
[NETWORK 7일차] VLSM / IP 주소 요약( 클래스풀 요약 ) (0) | 2017.05.1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