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위치 장비 특징( 스위치 기본 동작 / 트랜스패런트 브리징 / 명령어 / 관리자 ip 주소 설정 )
/ 동적 라우터에 대해서 정리한다.
※ 스위치 장비 특징
( 패킷 트레이서에서 스위치 장비를 physical에서 확인 해보면 24포트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고
그 오른쪽에는 기가 단위의 포트 2개가 위치하고 있다 )
1. 스위치
- Layer 2 계층 장비
L2 L3 L4
- ETH | IP | TCP | HTTP
------> MAC 주소 참조
- 'Mac Address-Table' 정보 참조
2. 스위치 기본 동작
- Learning : MAC 주소 자동 학습 기능
- Flooding : 브로드케스트 프레임을 수신하여 전체 포트로 프레임을 복제하여 전송하는 기능
- Forwarding : 'mac address-table'을 참조하여 해당 포트로만 프레임을 전송하는 기능
- Aging : 'mac address-table'에 등록된 MAC 정보를 갱신 및 삭제하는 타이머
- Filtering : 프레임을 수신한 포트로 다시 프레임이 송신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루프 방지 기능
3. 트랜스패런트 브리징 기능
- 관리자가 참여하지 않아도 동작이 가능한 특성
4. Switch 명령어
en
conf t
!
hostname 이름
!
enable secret cisco
!
no ip domain-lookup
!
line con 0
password ciscocon
login
exec-timeout 0 0
logg syn
!
line vty 0 15
password ciscovty
login
!
5. 스위치 관리자 IP 주소 설정
- 기본적으로 VLAN 1 인터페이스에 IP 주소를 설정하여 관리용으로 사용한다.
@ SW1
int vlan 1
ip address 192.168.1.1 255.255.255.0
no shutdown
!
ip default-gateway 192.168.1.254
@ SW2
int vlan 1
ip address 192.168.1.2 255.255.255.0
no shutdown
!
ip default-gateway 192.168.1.254
SW1,SW2#show run
SW1,SW2#show ip int brief
SW1#ping 192.168.1.254
SW1#ping 192.168.1.102
( 스위치에 관리자 ip 주소를 설정해 놓으면 해당 스위치에서 다른 스위치( 관리자 ip 주소가 설정된 ), 라우터,
클라이언트 PC를 점검할때 관리자가 직접 움직이지 않고 원격접속을 통해 점검을 하거나 ping 테스트를 해볼 수 있다 )
※ 동적 라우터
1. R1, R3
route rip
version 2
no auto-summary
network 13.0.0.0
network 172.16.0.0
end
2. R2
router rip
version2
no auto-summary
network 13.0.0.0
end
- 라우팅 테이블 확인
R1,R2,R3#show ip route
( 동적 라우터 설정 이후에 R2에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 해보면 RIP이라는 프로토콜로 설정이 되있는걸 볼 수 있다 )
( R1 라우터는 루프백 주소인 172.16.0.0/24 대역까지 동적 라우터 설정을 했고
R3 또한 마찬가지이다 )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