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isco IOS 명령어( 라우터 인터페이스 설정 ) / 라우터 테이블 동적 설정에 대해서 정리한다.
※ Cisco IOS 명령어
( 실습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 상황이다 )
1. FastEthernet 0/0 인터페이스 설정
- R1 설정을 참조하여 R2와 R3에도 설정을 실시한다.
R1#conf t
R1(config)#int fa0/0
R1(config-if)#ip address 13.13.10.1 255.255.255.0
R1(config-if)#no shutdown
R1(config-if)#end
R1#
R1#show run
R1#show ip int brief
R1#show int fa0/0
R1#ping 13.13.10.2
R1#ping 13.13.10.3
R1#show arp
2. R1 S1/0 - R2 S1/1 인터페이스 설정
"clock rate 1000000"
DTE DCE
R1[S1/0]--------HDLC---------[S1/1]R2
R1#show int s1/0
R1#show controllers s1/0
Interface Serial1/0
Hardware is PowerQUICC MPC860
DTE V.35 TX and RX clocks detected
---------- 확인
R2#show int s1/1
R2#show controllers s1/1
Interface Serial1/1
Hardware is PowerQUICC MPC860
DCE V.35, clock rate 2000000
---------- 확인
R1(config)#int s1/0
R1(config-if)#ip address 13.13.12.1 255.255.255.0
R1(config-if)#no shutdown
R1(config-if)#end
R1#
R1#show run
R2(config)#int s1/1
R2(config-if)#ip address 13.13.12.2 255.255.255.0
R2(config-if)#clock rate 1000000
R2(config-if)#no shutdown
R2(config-if)#end
R2#
R2#show run
R1#show ip int brief
R1#show int s1/0
R2#show ip int brief
R2#show int s1/1
R1#ping 13.13.12.2
R2#ping 13.13.12.1
3. R2 S1/0 - R3 S1/1 인터페이스 설정
"clock rate 1000000"
DCE DTE
R2[S1/0]--------HDLC---------[S1/1]R3
R2#show controllers s1/0
Interface Serial1/0
Hardware is PowerQUICC MPC860
DCE V.35, clock rate 2000000
R3#show controllers s1/1
Interface Serial1/1
Hardware is PowerQUICC MPC860
DTE V.35 TX and RX clocks detected
R2(config)#int s1/0
R2(config-if)#ip address 13.13.23.2 255.255.255.0
R2(config-if)#clock rate 1000000
R2(config-if)#no shutdown
R2(config-if)#end
R2#
R2#show run
R3(config)#int s1/1
R3(config-if)#ip address 13.13.23.3 255.255.255.0
R3(config-if)#no shutdown
R3(config-if)#end
R3#
R3#sh run
R2#show ip int brief
R2#show int s1/0
R3#show ip int brief
R3#show int s1/1
R2#ping 13.13.23.3
R3#ping 13.13.23.2
( 네트워크 구성에서 각 클라이언트 PC에 IP정보를 정적으로 설정 해주었다 )
( 위 네트워크 구성 그림에 있는 루프백 인터페이스를 구성 하기 위해서는 int lo <할당번호>를
지정 해주고 아이피와 서브넷 마스크를 설정 해주면 된다 )
( show run 명령어를 통해서 항상 설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을 해주어야 한다 )
( show run 명령어로 확인 이후에 show ip int brief를 통해서 확인 해보면 1계층과 2계층이 둘다 up으로
되있으면 통신이 가능하다는 얘기이다 )
( 네트워크에 구성을 할때 위에 나와있는 명령어들을 다 입력하면 기본 구성이 됬다고 볼 수 있다 )
※ 라우터 테이블 동적 설정
1. R1, R3
conf t
!
router rip
version 2
no auto-summary
network 13.0.0.0
network 172.16.0.0
end
!
2. R2
conf t
!
router rip
version 2
no auto-summary
network 13.0.0.0
end
!
-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해서 패킷을 전송
( 테이블 안에 경로가 없다면 동적이나 정적으로 경로를 추가 해줘야된다 )
( 라우터가 외부 네트워크까지 통신이 될 수 있도록 라우팅 테이블에 경로 정보를 추가 해줘야
라우팅이 될 수 있는데 방법은 정적/동적 두가지 테이블 설정 방법이 있다 )
'프로그래밍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TWORK 11일차] 스위치 장비 특징( 스위치 기본 동작 / 트랜스패런트 브리징 / 명령어 / 관리자 ip 주소 설정 ) / 동적 라우터 (0) | 2017.05.24 |
---|---|
[NEWORK 10일차] 정적 경로 특징( 인터페이스 지정 정적 경로 설정 / 신뢰도 / 메트릭 / 정적 기본 경로 ) (0) | 2017.05.23 |
[NETWORK 8일차] Cisco IOS 명령어( 명령 프롬프트, 라우터 호스트네임 설정, RAM&NVRAM, 라우터 패스워드 설정 ) (0) | 2017.05.19 |
[NETWORK 7일차] VLSM / IP 주소 요약( 클래스풀 요약 ) (0) | 2017.05.17 |
[NETWORK 6일차] IP 주소 특징( 공인 IP, 사설 IP ) / 서브넷팅 (0) | 2017.05.1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