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분류 전체보기607

[LINUX 12일차] CentOS 네트워크(동작 확인, 설정) / 압축(gzip, bzip2, xz) / 아카이브(tar) & 압축 CentOS 네트워크(동작 확인, 설정) / 압축(gzip, bzip2, xz) / 아카이브(tar) & 압축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네트워크 방식 - Briged- NAT- Host-only * Briged, NAT 방식은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. ※ 네트워크 동작 확인 우리가 인터넷을 하기 위해서는 PC -> 공유기 -> DNS Server -> Internet 순서로 통신이 외부로 나가게 된다.( DNS Server 부터는 Internet 공간이라고 보면 된다 ) 1. 내부 네트워크 확인 - ping ( 윈도우에서 cmd>ipconfig 에서 기본 게이트웨이를 확인한다 ) - 내 pc에서 공유기까지의 네트워크를 확인 한다고 보면 된다. * Briged에 경우만 ipconfig에서 게이트웨이 확인이 .. 2017. 3. 25.
[LINUX 11일차] CentOS 싱글모드 / 패스워드 관리( chage, 사용자 설정 정보 변경) / 기본정책( /etc/login.defs ) CentOS 싱글모드 / 패스워드 관리( chage, 사용자 설정 정보 변경) / 기본정책( /etc/login.defs 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싱글모드( single mode ) - 해당 싱글모드 내용은 CentOS 7버전에 대한 내용이다.( 버전이 다르다면 방법 또한 다르다 ) - CentOS 7버전부터는 복구모드( rescue mode ) 또는 비상모드( emergency mode )라고도 부른다.- root 패스워드를 잃어버렸을때 유용하게 쓰인다. 1. selinux=disabled 일때 사용하는 패스워드 변경 방법( selinux=enforcing이면 이 방법은 적용되지 않는다 ) 1). CentOS 부팅을 하게되면 bootloader(GRUB2) 화면이 나오는데 이때 e키를 눌러준다. 2).. 2017. 3. 24.
[LINUX 10일차] CentOS 디렉터리 파일 권한 / 패스워드 관리(passwd) CentOS 디렉터리 파일 권한 / 패스워드 관리(passwd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파일 권한( 디렉터리 파일 ) r -> lsw -> touch, mkdir, rm, rmdir, ...x -> cd * 디렉터리 파일에서는 w 권한을 이용해서 디렉터리 안에 내용을 편집 할때는 디렉터리 안을 접근 가능한 상태에서 편집이 진행 될 수 있기 때문에 x권한이 함께 있어야 한다. * 디렉터리 파일에서 r 권한은 해당 디렉터리를 밖에서 볼 수 있는 권한이고 x 권한은 직접 디렉터리에 들어 갈 수 있는 권한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 ( user 디렉터리에 권한은 소유자에게만 rwx가 부여되있는데 linux01 사용자는 이 디렉터리를 접근할때 소유자, 소유그룹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의 권한을 가진다. use.. 2017. 3. 23.
[LINUX 9일차] CentOS 그룹 관리(그룹에 사용자 추가, 사용자별 그룹 확인) / 소유권(소유권 변경, 일반파일 권한) CentOS 그룹 관리(그룹에 사용자 추가, 사용자별 그룹 확인) / 소유권(소유권 변경, 일반파일 권한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그룹 관리 1. 그룹에 사용자 추가 - command : usermod -G ( 명령어를 이용해서 소속 그룹 추가시 해당 사용자는 소속 그룹을 하나만 가질 수 있다 )- vi /etc/group를 통해서 직접 편집하는 방법 * 한 사용자가 소속 그룹을 여러개 가지게 하려면 vi를 통해서 직접 편집 해줘야 한다. ( usermod -G 명령어를 통해서 사용자 korea01의 소속 그룹을 linux도 가지도록 추가 해주면 기본 그룹이 아니기때문에 /etc/passwd 에서는 바뀌지 않지만 /etc/group을 통해 확인 해보면 linux 그룹에 korea01이 소속 그룹으로 지정.. 2017. 3. 22.
[LINUX 8일차] CentOS 그룹 관리(그룹 확인, 그룹 삭제, 그룹 생성) CentOS 그룹 관리(그룹 확인, 그룹 삭제, 그룹 생성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그룹 관리 1. 그룹 확인 - /etc/group 에서 그룹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. ex) root:x:0: root : 그룹 이름 x : 그룹 비밀번호(사용하지 않음) 0 : GID(Group ID) 2. 그룹 삭제 - vi 명령어를 이용한 /etc/group 파일에 직접 접근하여 삭제하는 방법 - command : groupdel * 지우려 하는 그룹이 어떤 사용자의 기본 그룹으로 사용되고 있다면 명령어를 사용해서 지울수 없다. ( ls -l 명령어를 이용했을때 빨간줄이 그어진 부분이 GID 부분이다 ) ( groupdel 명령어를 이용해서 /etc/group에 있는 user를 지웠더니 아까와는 다르게 user에서.. 2017. 3. 21.
[LINUX 8일차] CentOS 사용자 관리(useradd 기본값, 사용자 수정, 사용자 삭제) CentOS 사용자 관리(useradd 기본값, 사용자 수정, 사용자 삭제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사용자 관리 1. useradd 기본값( 기본값 변경 방법은 vi를 통해서 접근 하는 방법과 command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) - /etc/default/useradd 파일에 useradd 기본값이 정의 되있다. 1). 리눅스에서 주석은 #로 표시한다. 2). CREATE_MAIL_SPOOL은 사용자를 생성할때 메일함을 자동으로 만들것인지를 설정하는 부분이다.* /var/spool/mail 디렉터리에 모든 사용자의 메일함이 들어있다. 3). vi 명령어를 통해서 /etc/passwd에 직접 사용자를 만들어주면 메일함은 생기지 않는다.( 단, 해당 사용자를 로그인하면 그 사용자에 대한 메일함이 자동 생.. 2017. 3. 21.
[LINUX 7일차] CentOS 사용자 관리 디렉터리(passwd, skel, group) / 사용자 확인(passwd, UID, GID, chown) / 사용자 생성(useradd) CentOS 사용자 관리 디렉터리(passwd, skel, group) / 사용자 확인 / 사용자 생성(useradd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사용자 관리 디렉터리 - /etc/passwd : 사용자 계정 정보가 저장 되는 장소 - /etc/skel : 사용자 계정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뼈대 1). useradd 명령어를 사용해서 계정을 생성하면 해당 디렉터리의 숨김파일을 포함한 모든 파일, 디렉터리가 생성된 사용자 홈디렉터리로 복사 된다. 2). /etc/skel 안에 파일, 디렉터리를 새로 만들어서 추가하고 그 이후에useradd로 사용자를 생성하면 추가한 파일, 디렉터리로 사용자 홈디렉터리로 복사된다. - /etc/group : 그룹 정보의 저장소 1. 사용자 확인 1). user ( 사용자 이름 ).. 2017. 3. 20.
[LINUX 6일차] CentOS 쉘(Shell) 제어문자 / 쿼터(싱글, 더블, 백, 이스케이프 시퀀스) / 다중명령어(;, &&, |) CentOS 쉘(Shell) 제어문자 / 쿼터(싱글, 더블, 백, 이스케이프 시퀀스) / 다중명령어(;, &&, |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쉘(Shell)의 기능 1. 제어문자 - ctrl + c : 현재 실행중인 명령을 종료 - ctrl + l : 화면 정리( 정확히 말하자면 화면을 지우는게 아니라 위로 올린다 )* clear 명령어를 이용해도 화면을 정리 할 수 있다. - ctrl + u : 명령 라인 정리( 입력중인 현재 라인을 정리한다 ) - ctrl + d : 로그아웃이나 프로그램 종료* exit 명령어를 이용해도 로그아웃이 가능하다. - ctrl + z : 포그라운 프로세스 정지( 내 눈앞에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정지 시킨다 ) 2. 쿼터 : ' , " , ` , \ 1). ' ( 싱글 .. 2017. 3. 17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