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분류 전체보기607

[LINUX 35일차] Xinetd( ftp 설정 ) / Telnet ( 설치, xinetd 설정 ) Xinetd( ftp 설정 ) / Telnet( 설치, xinetd 설정 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Xinetd ( ftp 설정 ) - 데몬을 관리하는 데몬 1. xinetd 설치 xinetd.x86_64 #>yum install -y xinetd.x86_64 2. xinetd 설정 - /etc/xinetd.conf default 설정 - 모든 서비스에 해당 설정 적용 - /etc/xinetd.d ( directory ) 서비스별 설정 파일 - 특정 서비스에만 설정 적용 ( /etc/xinetd.conf에는 모든 서비스에 적용이 되는 default 설정이 들어있기 때문에 특정 서비스에 설정을 적용 시키려면 서비스 설정 파일을 따로 만들어줘야 한다 ) 1) ftp 설정 #>vi /etc/xinetd.d/v.. 2017. 5. 2.
[LINUX 34일차] CentOS FTP 보안설정(모든 사용자, 특정 사용자) / 접근제어 / Active, Passive mode CentOS FTP 보안설정(모든 사용자, 특정 사용자) / 접근제어 / Active, Passive mode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FTP 보안설정 ( /etc/vsftpd/vsftpd.conf ) 100 #chroot_local_user=YES 101 #chroot_list_enable=YES 103 #chroot_list_file=/etc/vsftpd/chroot_list 1) 모든 사용자의 상위 디렉터리 접근 거부 100 chroot_local_user=YES ->쓰기 권한 삭제 #>chmod u-w ~admin01 ->104 allow_writeable_chroot=YES * 상위 디렉터리 접근 거부는 막고 쓰기 권한은 추가하려면 아래 옵션을 추가 ( chroot_local_user=YES만 사.. 2017. 5. 2.
[LINUX 33일차] CentOS FTP 서버구축( Standalone 방식 ) CentOS FTP 서버구축( Standalone 방식 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FTP - server : vsftpd, proftpd, ... - client : ftp cmd, web browser, ... -> port : 20 ( data ), 21 ( command ) 1. 서버 구축 ( Standalone 방식 ) 1) 설치 vsftpd.x86_64 #>yum install -y vsftpd.x86_64 ( ip addr 명령어로 서버 ip를 확인해서 해당 서버에 클라이언트가 접속 할 수 있다 ) ( 윈도우에서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리눅스 해당 ftp 서버에 접속을 시도 해본 결과 정상적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) ( cmd 창에서 접속 할때는 ftp 를 통해 접속하고 익명으로 접속 할때는 ano.. 2017. 5. 2.
[LINUX 32일차] CentOS Quota 설정 / Auto_mount(설정, 마운트) CentOS Quota 설정 / Auto_mount(설정, 마운트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Quota 설정 #>edquota - 사용자별 설정 #>edquota -u #>edquota -u admin01 blocks : user의 사용용량( kb ) soft : bloks이 지정한 용량을 초과하면 경고( grace time ) hard : blocks이 지정한 용량을 초과하면 쓰기 금지 inode : user의 파일 갯수 soft : inodes 지정한 갯수를 초과하면 경고 hard : inodes 지정한 갯수를 초과하면 쓰기 금지 ( blocks에 해당되는 soft, hard는 용량을 제한하고 inodes에 해당하는 soft, hard는 파일 갯수를 제한한다 ) ( repquota -avug 명령어로 .. 2017. 5. 2.
[LINUX 31일차] CentOS ACL(일반파일 ACL,default ACL) / Quota(확인,시작/종료,상태 확인) CentOS ACL(일반파일 ACL,default ACL) / Quota(확인,시작/종료,상태 확인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ACL ( Access Control List ) 1. 일반 파일의 ACL 1) ACL 확인#>getfacl #>touch /root/file1#>getfacl /root/file1# file: root/file1# owner: root# group: rootuser::rw-group::r--other::r--#>ls -l /root-rw-r--r-- 1 root root 0 4월 19 21:22 file1 ( 소유자와 소유그룹에 acl이 적용된 /root/file1의 모양이다 ) 2) ACL 설정#>setfacl -m u::r|w|xg::r|w|xm::r|w|x#>useradd .. 2017. 4. 21.
[LINUX 30일차] CentOS NFS(Server,Client) CentOS NFS(Server,Client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NFS( 리눅스 시스템 간에만 사용 ) 1. Server ( Linux(Centos7) - Server, Linux(Centos72) - Client ) 1) 설치nfs-util.x86_64 #>yum install -y nfs-util.x86_64 2) 설정/etc/exports /nfs *(ro,sync) - 권한ro : 읽기 전용( read only )rw : 읽기, 쓰기 가능sync : 동기화no_root_squash : rootroot_squash : nfsnobody ( 기본값 ) 3) 서비스 실행#>systemctl restart nfs#>systemctl restart rpcbind - 확인#>exportfs ( syst.. 2017. 4. 21.
[LINUX 29일차] CentOS Samba 확인, security (user, share) CentOS Samba 확인, security (user, share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Samba 확인 1. 확인 - 접속한 사용자 목록 ( Server - Linux ) #>smbstatus - 연결된 네트워크 확인 ( Client - Windows ) cmd>net use - 해당 네트워크 기록 삭제 ( Client - Widows ) cmd>net use /delete \\ ( smbstatus 명령어를 이용해서 접속한 사용자 목록과 시간을 확인 할 수 있다 ) ( net use 명령어를 이용하면 연결 정보 목록이 출력 되고 해당 연결 정보를 지우려면 net use /delete \\를 이용하면 된다 ) - Samba Error 종류 ( 만약 동작이 되지 않는 경우 ) 1. SELINUX -.. 2017. 4. 19.
[LINUX 28일차] CentOS SAMBA ( Client, Server ) CentOS SAMBA ( Client, Server 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SAMBA( Linux와 Windows 간의 사용 가능 ) 해당 작업을 진행하기전에 yum update -y를 이용해 yum을 업데이트 시키고 진행한다. 1. Client ( Linux - Client, Windows - Server ) 1) 설치samba-client.x86_64cifs-utils.x86_64 #>yum install -y samba-client.x86_64#>yum install -y cifs-utils.x86_64 2) 공유 폴더 확인( Server IP - 192.168.3.187 ) #>smbclient -L #>smbclient -L 192.168.3.187 ( 서버 아이피를 통해 해당 서버에 공유.. 2017. 4. 18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