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프로그래밍194

[LINUX 8일차] CentOS 사용자 관리(useradd 기본값, 사용자 수정, 사용자 삭제) CentOS 사용자 관리(useradd 기본값, 사용자 수정, 사용자 삭제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사용자 관리 1. useradd 기본값( 기본값 변경 방법은 vi를 통해서 접근 하는 방법과 command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) - /etc/default/useradd 파일에 useradd 기본값이 정의 되있다. 1). 리눅스에서 주석은 #로 표시한다. 2). CREATE_MAIL_SPOOL은 사용자를 생성할때 메일함을 자동으로 만들것인지를 설정하는 부분이다.* /var/spool/mail 디렉터리에 모든 사용자의 메일함이 들어있다. 3). vi 명령어를 통해서 /etc/passwd에 직접 사용자를 만들어주면 메일함은 생기지 않는다.( 단, 해당 사용자를 로그인하면 그 사용자에 대한 메일함이 자동 생.. 2017. 3. 21.
[LINUX 7일차] CentOS 사용자 관리 디렉터리(passwd, skel, group) / 사용자 확인(passwd, UID, GID, chown) / 사용자 생성(useradd) CentOS 사용자 관리 디렉터리(passwd, skel, group) / 사용자 확인 / 사용자 생성(useradd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사용자 관리 디렉터리 - /etc/passwd : 사용자 계정 정보가 저장 되는 장소 - /etc/skel : 사용자 계정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뼈대 1). useradd 명령어를 사용해서 계정을 생성하면 해당 디렉터리의 숨김파일을 포함한 모든 파일, 디렉터리가 생성된 사용자 홈디렉터리로 복사 된다. 2). /etc/skel 안에 파일, 디렉터리를 새로 만들어서 추가하고 그 이후에useradd로 사용자를 생성하면 추가한 파일, 디렉터리로 사용자 홈디렉터리로 복사된다. - /etc/group : 그룹 정보의 저장소 1. 사용자 확인 1). user ( 사용자 이름 ).. 2017. 3. 20.
[LINUX 6일차] CentOS 쉘(Shell) 제어문자 / 쿼터(싱글, 더블, 백, 이스케이프 시퀀스) / 다중명령어(;, &&, |) CentOS 쉘(Shell) 제어문자 / 쿼터(싱글, 더블, 백, 이스케이프 시퀀스) / 다중명령어(;, &&, |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쉘(Shell)의 기능 1. 제어문자 - ctrl + c : 현재 실행중인 명령을 종료 - ctrl + l : 화면 정리( 정확히 말하자면 화면을 지우는게 아니라 위로 올린다 )* clear 명령어를 이용해도 화면을 정리 할 수 있다. - ctrl + u : 명령 라인 정리( 입력중인 현재 라인을 정리한다 ) - ctrl + d : 로그아웃이나 프로그램 종료* exit 명령어를 이용해도 로그아웃이 가능하다. - ctrl + z : 포그라운 프로세스 정지( 내 눈앞에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정지 시킨다 ) 2. 쿼터 : ' , " , ` , \ 1). ' ( 싱글 .. 2017. 3. 17.
[LINUX 5일차] CentOS 파일 관련 명령어(mv, cp) / 쉘(shell)의 기능(입/출력 리다이렉션) / Wargame 사이트(OverTheWire) CentOS 파일 관련 명령어(mv, cp) / 쉘(shell)의 기능 / Wargame 사이트(OverTheWire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파일 관련 명령어 1. mv : 파일 이동 - mv 명령어를 이용해서 파일 이름을 변경 할 수도 있다.- 디렉터리, 파일 모두 옵션 지정없이 이동이 가능하다.- 옵션 -f를 이용하면 에 같은 이름의 파일이 존재해도묻지 않고 덮어쓰도록 한다.( 원래는 같은 이름의 파일이 존재하면 CentOS는 파일 내용을 덮어 쓸껀지 물어본다 ) ( /dir1 디렉터리안에 file1이라는 파일을 mv 명령어를 이용해서 /dir2로이동하면서 파일 이름도 passwd라고 바꾸는걸 볼 수 있다 ) ( mv 명령어를 이용해서 passwd의 이름이 file로 다시 바뀌어도 안에 내용은변하지.. 2017. 3. 15.
[LINUX 4일차] CentOS 파일 명령어 - 내용 확인 (cat, tail, head) / 내용 확인 및 수정 (vi) CentOS 파일 명령어 - 내용 확인 (cat, tail, head) / 내용 확인 및 수정 (vi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파일 관련 명령어 1. 파일 내용 확인 ( cat, tail, head )( 내용 확인만 가능하고 수정은 불가능하다 ) 1). cat : 파일 전체 내용을 출력한다. ( cat 명령어를 이용해서 /etc/passwd 파일에 내용을 전체 출력해봤다 ) 2). tail : 전체 내용 중에서 밑에서부터 10줄을 출력한다.( - 옵션을 이용해서 입력한 숫자만큼의 라인을 출력 할수도 있다 ) ( - 옵션을 이용해서 출력 라인수를 제어할수 있다 ) 3). head : 전체 내용 중에서 위에서부터 10줄을 출력한다.( tail과 마찬가지로 - 옵션을 사용할수 있다 ) ( head 명령어에 -.. 2017. 3. 15.
[LINUX 3일차] CentOS 디렉터리 목록 확인(ls) 명령어 / 일반파일 관련 명령어(touch, file, stat) CentOS 디렉터리 목록 확인(ls) 명령어 / 일반파일 관련 명령어(touch, file, stat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ls (디렉터리 목록 확인 명령어) - ls - ls 명령어 뒤에 path(경로)가 붙지 않으면 현재 디렉터리 위치 목록을 확인한다. * ls 명령어 옵션 1). -l : 자세히 ( 파일, 디렉터리 목록을 자세히 보여준다 ) * 사용자 홈 디렉터리를 담는 /home과 user의 홈디렉토리 /home/user를 ls -l 로 확인한 결과이다.* drwxr-xr-x라고 써진 부분에서 맨앞은 타입을 나타내는데 d는 디렉토리 타입을 말한다.( 그 뒤에 rwxr-xr-x는 관리자, 그룹, 제3자에 대한 디렉토리 및 파일권한을 나타낸다 )* 현재 user의 홈 디렉터리이기때문에 소유자는 .. 2017. 3. 13.
[LINUX 2일차] CentOS 명령어 형태와 옵션 검색 / 디렉터리 관련 명령어 CentOS 명령어 형태와 옵션 검색 / 디렉터리 관련 명령어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명령어의 형태 options, ... arguments, ...( 명령어를 입력할때 options와 arguments는 선택적이다 ) ※ 명령어 옵션 검색 - --help : 해당 명령어 옵션 검색 - man : --help보다 명령어에 대한 설명이 상세하게 나옴( space bar나 enter 키를 통해서 아래로 이동하며 읽을수 있다 ) * LINUX 커맨드 환경에서는 마우스가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단축키 shift + PgUp, shift + PgDn 로 위아래로 이동 가능하다. ※ 디렉터리 관련 명령어 1). pwd ( 작업 디렉터리 확인 )- 현재 작업중인 디렉터리 경로를 보여준다.- 모든 사용자는 로그인 하게되.. 2017. 3. 11.
[LINUX 2일차] CentOS 파일 / 디렉터리 구조 / 부팅모드 설정 CentOS 파일 / 디렉터리 구조 / 관련 명령어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CentOS 파일 종류 1. 디렉터리 파일- 파일을 담고 있는 파일이다- 윈도우 환경에서 폴더와 비슷하다 2. 일반 파일- 데이터를 담고 있는 파일이다. 3. 장치 파일- 리눅스는 시스템에 장착된 여러가지 장치들을 파일로 관리한다.( 하드디스크의 경우 sda 같은 파일 ) 4. 링크 파일- 하드 링크파일1). 원본 파일과 다른 이름으로 존재하는 동일한 파일2). 원본 파일의 내용이 변경되면 자동으로 변경 - 심볼릭 링크파일1). 원본 파일을 가르키고 있는 윈도우 환경에 '바로가기' 같은 파일 ※ 디렉터리 구조 - / : 최상위 디렉터리 ( root 라고 부른다 ) - / 와 /root는 서로 다른 디렉터리이다.- 최고 관리자인 r.. 2017. 3. 10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