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 전체 글607 [LINUX 27일차] CentOS LVM 생성(Mirror) / Server 기본 설정(네트워크 설정 및 확인, SELINUX, firewall daemon) CentOS LVM 생성(Mirror) / Server 기본 설정(네트워크 설정 및 확인, SELINUX, firewall daemon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LVM 생성 [ Mirror ] 1. 디스크 추가- /dev/sdb ( 1G )- /dev/sdc ( 1G ) 2. LVM 파티션 생성 ( 시스템ID - 8e )- /dev/sdb1- /dev/sdc1 3. PV 생성#>pvcreate /dev/sdb1#>pvcreate /dev/sdc1#>pvcreate /dev/sdd1 - 확인#>pvs 4. VG 생성#>vgcreate mirror /dev/sdb1 /dev/sdc1 - 확인#>vgs ( 2G mirror 구성을 하기 위해서 vgcreate로 /dev/sdb1과 /dev/sdc1을 묶어준다 .. 2017. 4. 18. [LINUX 26일차] CentOS LVM 장치 사용중 크기 변경(Linear) / LVM 장치 크기 감소(Linear) / LVM 생성(Stripe) CentOS LVM 장치 사용중 크기 변경(Linear) / LVM 장치 크기 감소(Linear) / LVM 생성(Stripe)에 대해서 정리한다. ( df -h로 LVM 장치들을 확인 해보면 /dev/mapper 디렉터리 안에 생성이 되는걸 볼 수 있고 /dev/mapper/- 형식으로 생성이 되는걸 확인 할 수 있다 ) ※ LVM 장치 사용중 크기 변경 [ Linear ] 1. PV 생성#> fdisk /dev/sdd #>pvcreate /dev/sdd1 - 확인#> PVS 2. VG 공간 추가#>vgextend ( 새로 생성한 PV인 /dev/sdd1을 linear라는 VG에 추가 해줘서 VG 사용 가능한 용량이 /dev/sdd1 용량만큼 생긴걸 볼 수 있다 ) 3. LV 공간 추가#>lvexten.. 2017. 4. 14. [LINUX 25일차] CentOS RAID 생성(Level 0+1,Level 1+0) / LVM(Linear 구성) CentOS RAID 생성(Level 0+1,Level 1+0) / LVM(Linear 구성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RAID 생성 [ Level 0+1 ] 1. 디스크 추가- /dev/sdb ( 1G )- /dev/sdc ( 1G )- /dev/sdd ( 1G )- /dev/sde ( 1G ) 2. Raid 파티션 생성 ( fd )- /dev/sdb1- /dev/sdc1- /dev/sdd1- /dev/sde1 3. Raid 생성 ( Tool - mdadm )- /dev/md/stripe1 ( Level 0 )- /dev/sdb1- /dev/sdc1 - /dev/md/stripe2 ( Level 0 )- /dev/sdd1- /dev/sde1 - /dev/md/level01 ( Level 1 )- /dev.. 2017. 4. 12. [LINUX 24일차] CentOS RAID 장치 추가(spare,장치) / RAID 구성(Level 5,Level 0+1,Level 1+0), 생성 CentOS RAID 장치 추가 / RAID 구성(Level 5, Level 0+1, Level 1+0), 생성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RAID 장치 추가 1. spare로 추가#>mdadm --add ( 앞에 장치이름은 어떤 RAID 구성에 장치를 추가할거란걸 명시해주고 뒤쪽에 장치이름은 추가할 해당 장치를 명시해주면 된다 ) ( mdadm --detail로 확인해본 결과 /dev/sdd1이 spare로 추가된걸 볼 수 있다 ) * spare로 추가하게 되면 디스크 2장의 mirror 구성으로 동작하고 있다가 디스크가 고장나면 고장난 장치와 바로 교환 된다.( spare는 다른 디스크가 고장나기 전까지는 동작하지 않고 대기상태로 있는다 ) 2. 장치로 추가#>mdadm --grow --level= --.. 2017. 4. 12. [LINUX 23일차] CentOS RAID 구성(Linear,Stripe,Mirror) / RAID 생성 CentOS RAID 구성(Linear,Stripe,Mirror) / RAID 생성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RAID 구성 1) H/W RAID- 가격이 비싸다- S/W RAID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나다 2) S/W RAID- 성능이 하드웨어 구성에 미치지 못한다- 디스크 구매 비용 외에는 비용이 없다 1. RAID 구성 1) Linear( 선형 ) 구성- 디스크를 배열 형태로 단순 연결- 데이터의 내용을 순차적으로 기록 2) Stripe 구성( Level 0 )- 데이터의 내용을 분산 저장- 속도가 빠르다- 안전성을 보장 할 수 없다 3) Mirror 구성( Level 1 )- 안전성이 뛰어나다( 안전성을 위해 원본 데이터의 내용을 다른 디스크에 카피본으로 저장 해둔다 )- 디스크 용량을 최대 절반밖에 .. 2017. 4. 11. [LINUX 22일차] CentOS 마운트(mount, umount, df -h) / 디스크관리(파티션 삭제) / 네트워크(아이피 동적 할당, 아이피 정적 할당) CentOS 마운트(mount, umount, df -h) / 네트워크(아이피 동적 할당, 아이피 정적 할당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마운트 ( mount ) 1. 마운트 #>mount 2. 마운트 확인 #>df -h 3. 마운트 해제 #>umount ( 파티션을 할당하고 파일 시스템을 지정해준 디스크 공간을 사용하기 위해 mount 명령어를 이용해서 저장 공간으로 사용할 공간을 연결 해주고 df -h 명령어를 이용해서 마운트 작업이 제대로 됬는지 확인 해준다 ) ( 마운트로 연결해준 /HDD/partition1에 /etc/passwd 파일을 복사한 다음에 umount 명령어로 마운트를 해제 시키면 /dev/sdb1과 /HDD/partition1을 이어주고 있는 연결이 끈키기 때문에 마운트 되었을때 있던.. 2017. 4. 7. [LINUX 21일차] CentOS 파티션(주 파티션,확장 파티션, 논리 파티션) / 디스크 관리(파티션 명령어<fdisk>) / 파일시스템(mkfs) CentOS 파티션(주 파티션,확장 파티션, 논리 파티션) / 디스크 관리(fdisk) / 파일시스템(mkfs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파티션 ( Partition ) - 연속된 저장 공간을 독립적으로 나눠서 사용 1. 주 파티션 ( Primary Partition ) - 부팅 가능 파티션- 최대 4개까지 생성 가능- 파티션 번호 : 1 ~ 4 2. 확장 파티션 ( Extended Partition ) - 논리 파티션을 생성하기 위한 공간( 파일 저장 용도로 사용 불가능 ) - 파티션 번호 : 주파티션과 동일 3. 논리 파티션 ( Logical Partition ) - 확장 파티션 내에서 생성 가능한 파티션- 파티션 번호 : 5 ~( 갯수 제한 없이 생성 가능 )- 부팅 불가능 파티션 ※ 디스크 관리 I.. 2017. 4. 6. [LINUX 20일차] CentOS 종료, 재부팅 명령어 / 예약 작업(단일예약<at>, 반복예약<cron>) CentOS 종료, 재부팅 명령어 / 예약 작업(단일예약, 반복예약)에 대해서 정리한다. ※ 종료, 재부팅 명령어 1) 종료 #>poweroff #>halt #>init 0 * halt, init 0 명령어는 VmWare에서 종료할때 종종 문제가 발생한다. ( 예를 들면 검은 화면 상태로 화면이 넘어가지 않는 경우가 있다 ) 2) 재부팅 #>reboot 3) 예약 종료, 재부팅 #>shutdown -h halt 종료 -r reboot 재부팅 #>shutdown -h now 지금 즉시 종료 #>shutdown -h +10 10분후 종료 #>shutdown -r +20 20분후 재부팅 * 보통 서버를 이용중인 사용자들에게 작업 저장 시간을 주기 위해 예약 종료를 사용한다. ※ 예약 작업 1. 단일 예약 작업.. 2017. 4. 5. 이전 1 ··· 67 68 69 70 71 72 73 ··· 76 다음